PROJECT

Media art / Exhibition
Media art / Exhibition Multimedia Entertainment Production

Media art / Exhibition

2023 PARADISE ART LAB FESTIVAL

2023 PARADISE ART LAB FESTIVAL

파라다이스 아트랩

2023 PARADISE ART LAB FESTIVAL

파라다이스 아트랩
일시
2023. 09. 01. FRI – 09. 10. SUN (10days ONLY)
월요일-일요일 | 13:00-22:00 
 
· 장소
인천 광역시 중구 영종해안남로 321길 186
(PARADISE CITY (CHROMA, PLAZA, PARADISE WALK)
 
낯선 것에 이야기가 있습니다.
지금 여기,
우리의 서툰 시간을 모으고
예술의 낯선 시도를 포개 놓았습니다.
그것은 익숙하지 않은 것에서부터 시작됩니다.
호기심은 관계를 넓히고, 용기는 마음의 깊이를 더합니다.
손을 먼저 내밀면 결코 닿을 수 없던 곳이 가까워집니다.
낯선 것을 따라 모험을 시작합니다.
페스티벌에서 뜻밖의 만남을 통해 생경한 예술과, 다정한 예술을 경험하세요.
낯선 것에 기꺼이 다가가 여러분의 이야기를 시작하세요.
 
창∙제작 지원사업 파라다이스 아트랩(Paradise Art Lab)은 예술의 현재를 탐색하고 미래 가능성을 제시하는 장으로서 동시대 예술 흐름을 반영한 테마형 지원사업입니다.
파라다이스 아트랩은 예술(Art)과 기술(Technology)의 융합을 통해 즐거움과 놀라움을 선사할 작품을 지원합니다.
파라다이스 아트랩은 작품 공모를 시작으로 1년여의 작품 선정과 제작 과정을 진행 후, 쇼케이스를 통해 선정작품을 선보입니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 전시 환경 조성 및 전시 테크니션을 담당하였습니다.

 

 

 


2023 PARADISE ART LAB FESTIVAL
2023 PARADISE ART LAB FESTIVAL
2023 PARADISE ART LAB FESTIVAL
2023 PARADISE ART LAB FESTIVAL
2023 PARADISE ART LAB FESTIVAL
2023 PARADISE ART LAB FESTIVAL
2023 PARADISE ART LAB FESTIVAL
2023 PARADISE ART LAB FESTIVAL
2023 제주도립미술관 국제특별전

2023 제주도립미술관 국제특별전

이주하는 인간 호모 미그라티오

2023 제주도립미술관 국제특별전

이주하는 인간 호모 미그라티오
이주하는 인간_호모 미그라티오’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는 19일부터 11월 26일까지 69일간 진행된다. 전시에는 9개국 20개 팀(27명)이 참여해 회화, 설치, 미디어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 70여 점을 선보인다.
이주하는 인간_호모 미그라티오’는 이주와 생존에 관한 이야기로, 현대사회에서 잦은 이주를 경험한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온갖 위기로 넘치는 시대에 인류 생존의 대안을 제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이주를 역사적·문화적·생태적·우발적 이주 등 4개의 소주제로 구성하고 재해석해 다채롭게 펼쳐낸다.시는 제주도립미술관을 중심으로 제주돌문화공원, 제주국제평화센터, 제주항공우주박물관까지 총 4개의 전시관에서 펼쳐진다.
관람객 역시 한 공간에 머물러 전시를 관람하는 것이 아니라 제주 곳곳에 흩어진 전시공간을 찾아다니며 길 위의 여정을 경험하도록 설정했다.
전시와 함께 퍼포먼스, 관람객 체험 프로그램, 전시 연계 워크숍과 참여기관 연계 시민 참여 프로그램, 영화상영 프로그램 등이 다채롭게 마련됐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 2023 제주도립미술관 국제특별전 프로젝트 시행사를 담당하여, 적품설치를 위한 제반시설 구성 및 전시 테크니션을 담당하였습니다.

 

2023 제주도립미술관 국제특별전
2023 제주도립미술관 국제특별전
2023 제주도립미술관 국제특별전
2023 제주도립미술관 국제특별전
2023 제주도립미술관 국제특별전
2023 제주도립미술관 국제특별전
2023 제주도립미술관 국제특별전
2023 제주도립미술관 국제특별전
2023 제주도립미술관 국제특별전
2023 제주도립미술관 국제특별전
2023 제주도립미술관 국제특별전
2023 제주도립미술관 국제특별전
박지현 개인전 (TRANS-)

박지현 개인전 (TRANS-)

Baik Art

박지현 개인전 (TRANS-)

Baik Art

박지현 작가는 주제나 형태, 재료와 장르를 넘나드며 작업하는데, 표현 양식은 ‘Transpose(이항)’, ‘Transfer(변이)’, ‘Transform(변형)’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연결된다. 이렇게 작업하는 작가의 다양한 작품과 그 작품들을 관통하는 작가만의 독특한 시각과 성향을 한자리에서 조망할 수 있는 전시 박지현 개인전 《TRANS-》가 8월 29일 백아트 서울에서 개막하였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 작품설치에 필요한 제반시설의 설치를 담당하였습니다.

박지현 개인전 (TRANS-)
박지현 개인전 (TRANS-)
박지현 개인전 (TRANS-)
박지현 개인전 (TRANS-)
박지현 개인전 (TRANS-)
박지현 개인전 (TRANS-)
박지현 개인전 (TRANS-)
박지현 개인전 (TRANS-)
박지현 개인전 (TRANS-)
박지현 개인전 (TRANS-)
Discover Neom : A New future by Design

Discover Neom : A New future by Design

2023

Discover Neom : A New future by Design

2023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아시아 첫 네옴시티 전시회입니다.

도시계획과 디자인의 혁명인 더라인을 비롯해 옥사곤, 트로제나, 신달라 등 주요 프로젝트의 디자인 철학과 도시설계를 담은 비주얼과 모형이 전시되었습니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 디스커버 네옴 전시에서 작품설치를 위한 제반시설 구성 및 전시 테크니션을 담당하였습니다.

Discover Neom : A New future by Design
Discover Neom : A New future by Design
Discover Neom : A New future by Design
Discover Neom : A New future by Design
Discover Neom : A New future by Design
Discover Neom : A New future by Design
Discover Neom : A New future by Design
Discover Neom : A New future by Design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디스커버 네옴: 미디어컨퍼런스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디스커버 네옴: 미디어컨퍼런스
사우디아라비아의 초대형 청정도시 개발 프로젝트인 ‘네옴’을 한국에 소개하고 우리 기업들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로드쇼가 아시아 지역에선 처음으로 서울에서 개막했다.
 
국토교통부와 네옴 사무국은 25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네옴의 글로벌 로드쇼인 ‘디스커버 네옴’ 개막식을 열었다.
행사 첫날 비공개로 진행된 '디스커버 네옴' △건설 △미디어 △교육 △헬스케어·바이오 △관광 △에너지 관련 100여개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해 네옴프로젝트에 적용 가능한 첨단기술을 소개했다.
참석기업과 네옴간 협력관계 구축을 위한 1대1미팅도 마련됐다.
25일에는 프로젝트 관련 질의응답을 주고받는 '미디어컨퍼런스'와 '원팀코리아' 기업의 주제발표 및 네옴 실물모형 전시가 이뤄지는 '국토부×네옴 로드쇼'가 진행됐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디스커버 네옴 미디어 컨퍼런스에서 공간구축 및 전시 테크니션을 담당하였습니다.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Discover Neom : Media conference
In Sync

In Sync

제 2회 인천국제공항 내 미디어·디지털 아트 전시

In Sync

제 2회 인천국제공항 내 미디어·디지털 아트 전시

인천국제공항공사·파라다이스문화재단과 함께 인천공항 출국장과 탑승동 곳곳에서 '다시 하늘 위로'를 주제로 미디어·디지털 아트 작품을 전시하였습니다.

<In Sync>는 다시 열린 하늘 길을 찾는 여행객들에게 새로운 예술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예술경영지원센터와 인천국제공항공사가 공모하여 선정한 제2회 미디어-디지털 아트 프로젝트입니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 전시 공간 디자인 및 조성, 전시 테크니션을 담당하였습니다.

In Sync
In Sync
In Sync
In Sync
In Sync
In Sync
In Sync
In Sync
In Sync
In Sync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개관전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개관전

2023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개관전

2023




PYH2023032920200000500_P4.jpg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는 개인과 단체가 남긴 한국 현대미술의 수많은 기록과 자료를 선별해 수집 및 보존, 연구하기 위해 개관하였습니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개관전 장민승작가의

작품설치를 위한 제반시설 구성 및 전시 테크니션을 담당하였습니다.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개관전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개관전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개관전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개관전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개관전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개관전
갤러리현대 박민준 개인전

갤러리현대 박민준 개인전

2022-2023

갤러리현대 박민준 개인전

2022-2023

갤러리현대는 박민준 작가의 개인전 를 오는 12월 21일부터 2023년 2월 5일까지 개최합니다.

박민준은 신화적인 서사를 지닌 매력적인 이야기를 참작하고, 이에 등장하는 광대, 서커스 단원 등 다양한 캐릭터를고전 회화를 연상시키는 세세하고 정밀한 회화적 필법으로 생생히 캔버스에 옮겨 그리는 작업을 지속해오고 있습니다.

회화와 소설이 밀집한 관계를 맺으며 탄생한 신비로운 분위기를 간직한 그의 작품은 삶의 내밀한 풍경을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도록 안내합니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 작품설치를 위한 제반 시설, 전시 조명, 오프닝 이벤트를 담당하였습니다.

갤러리현대 박민준 개인전
갤러리현대 박민준 개인전
갤러리현대 박민준 개인전
갤러리현대 박민준 개인전
갤러리현대 박민준 개인전
갤러리현대 박민준 개인전
갤러리현대 박민준 개인전
갤러리현대 박민준 개인전
갤러리현대 박민준 개인전
갤러리현대 박민준 개인전
갤러리현대 박민준 개인전
갤러리현대 박민준 개인전
갤러리현대 박민준 개인전
갤러리현대 박민준 개인전
주한프랑스대사관 ICC 이머전

주한프랑스대사관 ICC 이머전

2022

주한프랑스대사관 ICC 이머전

2022

주한프랑스대사관이 <문화 및 창조산업(ICC) 이머전 프로그램>을 주최합니다.

프랑스의 혁신적인 문화 및 창조산업을 이끄는 최고의 기업들을 만나보세요!


• 일정: 2023. 02. 01 (수) – 02. 03 (금)

• 장소: 강남 플랫폼엘

• 참가대상: 스타트업, 투자자, 글로벌 기업 및 문화 및 창조산업 관련 종사자 또는 학생

• 프로그램: 

문화 및 창조산업 주제 컨퍼런스

B2B 네트워킹 및 칵테일 리셉션

문화 및 창조산업을 이끄는 기업들의 기술 시연 부스 및 전시 공간

 

 

씨투아테크놀러지는 전시 공간 디자인 및 조성, 전체 테크니션을 담당하였습니다.

주한프랑스대사관 ICC 이머전
주한프랑스대사관 ICC 이머전
주한프랑스대사관 ICC 이머전
주한프랑스대사관 ICC 이머전
주한프랑스대사관 ICC 이머전
주한프랑스대사관 ICC 이머전
주한프랑스대사관 ICC 이머전
주한프랑스대사관 ICC 이머전
태국 방콕국립박물관 한국실 전시

태국 방콕국립박물관 한국실 전시

2022

태국 방콕국립박물관 한국실 전시

2022

ㅇ 전 시 명: A New Encounter, Immersive Gallery of Korean Art

(새로운 만남, 실감콘텐츠 한국실)


ㅇ 기 간: 2022.11.20.(일)~2023.5.21.(일)

ㅇ 전시장소: 태국 방콕국립박물관 마하수라싱하낫 빌딩 401호

ㅇ 전 시 품: 디지털 실감 영상 ‘영혼의 여정’, ‘왕의 행차’

통일신라시대 관음보살입상 및 스리비자야 시기 관음보살입상


ㅇ 주 최: 국립중앙박물관, 태국 문화부 기초예술국

ㅇ 후 원: 주태국한국문화원

 

국립중앙박물관이 태국 문화부와 협업해 태국 방콕국립박물관에 실감콘텐츠 기반의 한국실을 새롭게 개관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을 최신 디지털 기술로 재해석한 디지털 실감 영상 두 편인 디지털 실감영상 ‘영혼의 여정’과 ‘왕의 행차’입니다. 

두 영상은 박물관이 소장한 조선시대 불교회화와 유교 문화에 기초한 조선 왕실의 공식 행사 기록인 의궤를 소재로 만든 것으로, 이번 전시를 위해서 태국어 음성과 자막, 전시 공간에 맞는 현지화 작업을 거쳐서 새롭게 선보입니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 실감콘텐츠 전시의 전시 테크니션을 담당하였습니다.

태국 방콕국립박물관 한국실 전시
태국 방콕국립박물관 한국실 전시
태국 방콕국립박물관 한국실 전시
태국 방콕국립박물관 한국실 전시
태국 방콕국립박물관 한국실 전시
태국 방콕국립박물관 한국실 전시
2022 Hyundai Card Storage 전시 - Studio Drift

2022 Hyundai Card Storage 전시 - Studio Drift

2022-2023

2022 Hyundai Card Storage 전시 - Studio Drift

2022-2023

현대카드의 안목으로 장르를 넘나드는 과감하고 실험적인 시각 예술을 선보이는 현대카드 스토리지는 창조적 차원에서 자율성을 추구해온 아티스트의 작업을 통해 우리의 시지각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2022년 12월 8일(목), 이태원에 위치한 현대카드 스토리지에서는 테크놀로지 미학을 통해 자연의 예술적 경험을 선사하는 네덜란드 아티스트 듀오 드리프트(DRIFT)의 아시아 최초 전시를 개최합니다.

 

2022년 12월 8일(목) ~ 2023년 4월 16일(일)


씨투아테크놀러지는 전시 환경 조성 및 전시 테크니션을 담당하였습니다.

 


2022 Hyundai Card Storage 전시 - Studio Drift
2022 Hyundai Card Storage 전시 - Studio Drift
2022 Hyundai Card Storage 전시 - Studio Drift
2022 Hyundai Card Storage 전시 - Studio Drift
2022 Hyundai Card Storage 전시 - Studio Drift
2022 Hyundai Card Storage 전시 - Studio Drift
2022 Hyundai Card Storage 전시 - Studio Drift
2022 Hyundai Card Storage 전시 - Studio Drift
2022 Hyundai Card Storage 전시 - Studio Drift
2022 Hyundai Card Storage 전시 - Studio Drift
2022 Hyundai Card Storage 전시 - Studio Drift
2022 Hyundai Card Storage 전시 - Studio Drift
2022 Hyundai Card Storage 전시 - Studio Drift
2022 Hyundai Card Storage 전시 - Studio Drift
국립중앙도서관 '그대, 내게 꽃이 되어'展

국립중앙도서관 '그대, 내게 꽃이 되어'展

2022

국립중앙도서관 '그대, 내게 꽃이 되어'展

2022

국립중앙도서관이 25일부터 본관 1층 전시실과 열린마당에서 꽃으로 만나는 근현대시전 

‘그대, 내게 꽃이 되어’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김소월의 ‘진달래꽃(개벽, 1922)’ 발표 100년, ‘꽃의 시인’ 김춘수 탄생 100년을 기념하여 

우리나라 시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고,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의 가치를 국민과 함께 나누는 의미에서 마련되었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 전시 공간 디자인 및 조성, 작품설치를 위한 제반시설 구성을 담당하였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 '그대, 내게 꽃이 되어'展
국립중앙도서관 '그대, 내게 꽃이 되어'展
국립중앙도서관 '그대, 내게 꽃이 되어'展
국립중앙도서관 '그대, 내게 꽃이 되어'展
국립중앙도서관 '그대, 내게 꽃이 되어'展
국립중앙도서관 '그대, 내게 꽃이 되어'展
국립중앙도서관 '그대, 내게 꽃이 되어'展
국립중앙도서관 '그대, 내게 꽃이 되어'展
국립중앙도서관 '그대, 내게 꽃이 되어'展
국립중앙도서관 '그대, 내게 꽃이 되어'展
제3회 제주비엔날레(Jeju Biennale)

제3회 제주비엔날레(Jeju Biennale)

2022

제3회 제주비엔날레(Jeju Biennale)

2022

제주비엔날레는 제주특별자치도가 주최하고 제주도립미술관이 주관하는 국제 미술 행사이다. 

1995년 제주프레비엔날레를 시작으로 섬 지역의 지리적 조건과 특성에 따른 제주도 고유의 지역성을 예술적 가치로 

재해석하고 동시대 현대미술을 논의하는 공론장으로서 2017년 제1회 제주비엔날레가 개최되었다. 

국제 미술계와 소통하고 도민과 함께하는 비엔날레로 제주 미술의 위상을 높이고자 한다"는 

취지를 표방하고 있습니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 John Akomfrah, 목진요, 강이연 작가의 작품설치를 위한 제반시설 및 전시 테크니션을 담당하였습니다.

제3회 제주비엔날레(Jeju Biennale)
제3회 제주비엔날레(Jeju Biennale)
제3회 제주비엔날레(Jeju Biennale)
제3회 제주비엔날레(Jeju Biennale)
제3회 제주비엔날레(Jeju Biennale)
제3회 제주비엔날레(Jeju Biennale)
제3회 제주비엔날레(Jeju Biennale)
제3회 제주비엔날레(Jeju Biennale)
제3회 제주비엔날레(Jeju Biennale)
제3회 제주비엔날레(Jeju Biennale)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파라다이스 아트랩

2022 PAL Festival

파라다이스 아트랩

일시

2022. 05. 20. FRI – 05. 29. SUN (10days ONLY)

월요일-금요일 | 11:00-19:00 *야외 작품의 경우 21:00 까지 관람 가능

토요일-일요일 | 11:00-21:00


· 장소

인천 광역시 중구 영종해안남로 321길 186

(파라다이스 시티 스튜디오, 아트스페이스, 크로마, 컬처파크, 플라자)


현재와 미래의 교차지점에서

예술의 리얼과 언리얼을 횡단하며,

새로운 감각을 깨우다.


현재와 미래의 교차선(Crossing)에 서 있는

우리들이 만나는 오월의 가장 따뜻한 축제,

2022 파라다이스 아트랩 페스티벌로의 초대


창∙제작 지원사업 파라다이스 아트랩(Paradise Art Lab)은 예술의 현재를 탐색하고 미래 가능성을 제시하는 장으로서 동시대 예술 흐름을 반영한 테마형 지원사업입니다.

파라다이스 아트랩은 예술(Art)과 기술(Technology)의 융합을 통해 즐거움과 놀라움을 선사할 작품을 지원합니다.


파라다이스 아트랩은 작품 공모를 시작으로 1년여의 작품 선정과 제작 과정을 진행 후, 쇼케이스를 통해 선정작품을 선보입니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 전시 환경 조성 및 전시 테크니션을 담당하였습니다.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PAL Festival
2022 LOEWE Craft Prize exhibition / Event

2022 LOEWE Craft Prize exhibition / Event

2022

2022 LOEWE Craft Prize exhibition / Event

2022

'로에베 재단 공예상'은 ‘장인 정신’을 되살리는 동시에 전통·혁신·재료· 창의성 등에 초점을 맞추어 공예작품을 선정, 포상하고 공예작가를 후원하기 위해 로에베 재단이 2016년 제정한 상으로, 국제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상입니다.

매년 전 세계 공예작가 2천~3천 명이 공모에 참여하며, 최종 결선작가 약 30명을 선정해 '로에베 재단 공예상' 전시로 선보이고 있습니다.

서울공예박물관과 스페인 로에베 재단은 7월 한 달간 전 세계 공예인들의 축제이자 경연의 장(場)인 2022년 '로에베 재단 공예상(Loewe Foundation Craft Prize)' 전시를 서울공예박물관에서 개최합니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 로에베 본사와 협업하여 전시/이벤트 설치 및 운영을 총괄하였습니다.


2022 LOEWE Craft Prize exhibition / Event
2022 LOEWE Craft Prize exhibition / Event
2022 LOEWE Craft Prize exhibition / Event
2022 LOEWE Craft Prize exhibition / Event
2022 LOEWE Craft Prize exhibition / Event
2022 LOEWE Craft Prize exhibition / Event
2022 LOEWE Craft Prize exhibition / Event
2022 LOEWE Craft Prize exhibition / Event
2022 LOEWE Craft Prize exhibition / Event
2022 LOEWE Craft Prize exhibition / Event
<옵티컬 레일(Optical Rail)> Kimchi and Chips

<옵티컬 레일(Optical Rail)> Kimchi and Chips

<옵티컬 레일(Optical Rail)> Kimchi and Chips

<옵티컬 레일(Optical Rail)>은 움직이는 아크릴 렌즈와 정지된 평면의 패턴 이미지가 만들어내는 상호작용을 시각화하는 키네틱 작품이다. 투명한 아크릴 렌즈 세트는 모터 시스템에 의해 패턴 이미지 위를 좌우로 가로지르며 움직인다. 이 때 투명 아크릴 렌즈를 투과하며 드러나는 패턴의 이미지는 직선에서 곡선으로, 평면에서 입체로, 스틸에서 모션으로 변형되어 그려진다. 입체성과 운동성이 부여되어 굴곡된 패턴 이미지는 그 본질이 바뀐 것이 아니라 아크릴 렌즈와 마주치며 나타난 착시와 변형이다. <옵티컬 레일(Optical Rail)>은 개별적인 요소들이 함께 작동할 때 미치는 영향과 변형을 표현하며 그것들의 상대적인 영향을 그리는 작품이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 김치앤칩스의 Optical Rail설계 및 설치에 테크니컬 디렉터로 참여하여 작품 설치에 필요한 제반시설의 설치 및 기술지원을 담당하였습니다.

<옵티컬 레일(Optical Rail)> Kimchi and Chips
<옵티컬 레일(Optical Rail)> Kimchi and Chips
<옵티컬 레일(Optical Rail)> Kimchi and Chips
<옵티컬 레일(Optical Rail)> Kimchi and Chips
<옵티컬 레일(Optical Rail)> Kimchi and Chips
<옵티컬 레일(Optical Rail)> Kimchi and Chips
P21 Gallery 태싯그룹 개인전: 인비트윈(tacit.install[3]_in-bitween)

P21 Gallery 태싯그룹 개인전: 인비트윈(tacit.install[3]_in-bitween)

태싯그룹 개인전

P21 Gallery 태싯그룹 개인전: 인비트윈(tacit.install[3]_in-bitween)

태싯그룹 개인전

P21 Gallery에서 미디어아트 팀 태싯그룹이 네 번째 개인전: 인비트윈(tacit.install[3]_in-bitween)을 선보인다. 

태싯그룹은 전자음악 작곡가 장재호와 테크노 뮤지션 가재발이 2008년 결성한 2인조 미디어아트 팀이다. 이번 전시에서 태싯그룹은 오랜 기간 지속해온 한글 작업과 빛 작업을 확장한 새로운 설치 작업을 선보인다. 

글자가 해체되고 변형되다가 다른 글자로 바뀌는 과정과 순간들을 시각과 청각을 통해 경험하도록 제시하는 전시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 이 전시의 전시공간구축, 오디오 설계를 담당하였습니다.

 

P21 Gallery 태싯그룹 개인전: 인비트윈(tacit.install[3]_in-bitween)
P21 Gallery 태싯그룹 개인전: 인비트윈(tacit.install[3]_in-bitween)
P21 Gallery 태싯그룹 개인전: 인비트윈(tacit.install[3]_in-bitween)
P21 Gallery 태싯그룹 개인전: 인비트윈(tacit.install[3]_in-bitween)
서울문화재단 DDP 언폴드엑스 권하윤<Peach Garden>

서울문화재단 DDP 언폴드엑스 권하윤

서울문화재단

서울문화재단 DDP 언폴드엑스 권하윤

서울문화재단

<언폴드엑스-디지털스토리텔러스>는 서울문화재단과 서울디자인재단이 공동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파라다이스문화재단, LG유플러스의 협력을 통해 진행되었습니다.

 

권하윤 자가의 <Peach Garden>은 조선 초기 화가 안견의 '몽유도원도'에서 영감을 얻은 이 작품

은 여러 명의 관객이 VR헤드셋을 착용하고 작품 속 세계를 자유롭게 거닐 수 있는 아름답고 몽환적인

공간을 경험하게 됩니다. 자유롭게 산책하며 놀라운 환경과 대화를 나누며 시적인 공간을

사유하게 됩니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 권하윤 작가 작품의 전체 테크니션을 담당하였습니다.

서울문화재단 DDP 언폴드엑스 권하윤<Peach Garden>
서울문화재단 DDP 언폴드엑스 권하윤<Peach Garden>
서울문화재단 DDP 언폴드엑스 권하윤<Peach Garden>
서울문화재단 DDP 언폴드엑스 권하윤<Peach Garden>
제주도립미술관 양숙현 <불의 기억>

제주도립미술관 양숙현 <불의 기억>

제주도립미술관 양숙현 <불의 기억>

전시 <불의 기억>은 2021 세계유산축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행사의 일환으로

마련되었습니다.

불의 숨길 아트 프로젝트는 동시대의 자연과 예술, 인간의 조화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프로젝트이며,

코로나19로 인해 현장에서 작품이 어려워진 관계로 이를 제주도립미술관과 협업을 통해

미디어아트 작품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양숙현 작가는 포인트 클라우드 기법을 통해 <세계유산축전-아트 프로젝트>현장을 3차원 세계로

재해석하여 전시장 안으로 들여왔습니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 본 작품의 시스템 엔지니어링을 담당했습니다.

제주도립미술관 양숙현 <불의 기억>
제주도립미술관 양숙현 <불의 기억>
제주도립미술관 양숙현 <불의 기억>
제주도립미술관 양숙현 <불의 기억>
제주도립미술관 양숙현 <불의 기억>
제주도립미술관 양숙현 <불의 기억>
제주도립미술관 양숙현 <불의 기억>
제주도립미술관 양숙현 <불의 기억>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MMCA 과천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MMCA 과천

《대지의 시간》은 기후위기와 코로나19 대유행 등 전 지구적 위기 앞에서 새로운 시대정신으로 요구되는 '생태학적 세계관'을 성찰하는 전시이다.

인간중심적 사고와 관점에서 벗어나서 생태학적으로 ‘공생’, ‘연결’, ‘균형의 회복’을 성찰한다. 

전시에는 국내외 작가 16명의 사진, 조각, 설치, 영상, 건축, 디자인 등 분야를 넘나드는 작품 35점이 출품된다. 

 

《대지의 시간》은 공생과 공진화를 위해 우리가 실천해야할 생태학적 세계관에 다가가기 위해 전시장 구성부터 기존의 전시틀을 허물었다. 

전시 종료 후 산업폐기물로 남는 가벽을 최소화하고 작품들이 서로 소통하며 연결되도록 공간을 조성하였으며 가벽 대신 공기를 주입한 공들을 설치하여 작품과 관람객 동선을 구분하고 전시 후 재사용토록 하였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 이 전시의 작품 설치에 필요한 제반시설의 설치 및 기술지원을 담당하였습니다.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MMCA 대지의 시간 : Time of The Earth
2021 ZER01NE DAY

2021 ZER01NE DAY

2021 ZER01NE DAY

현대차그룹이 후원하는 제로원(ZER01NE)이 상상력과 창의력에 기반한 다양한 콘텐츠로 대중과 소통하는 ‘제로원데이(ZER01NE DAY) 2021’을 개최한다. 

제로원은 창의인재를 위한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목표로 현대차그룹이 지난 2018년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에 오픈한 창의 공간이자 인재 플랫폼이다.

올해로 3회째를 맞는 제로원데이는 ‘놀이터(Playground)’라는 메인 테마 아래 미래 모빌리티, 모빌리티 x 사용자, 새로운 배움, 초연결 등 총 4가지 주제를 담은 전시, 토론, 퍼포먼스 프로젝트로 구성됐다. 

 

씨투아테크놀러지는 이 전시의 작품 설치에 필요한 제반시설의 설치 및 기술지원을 담당하였습니다.

 

ZER01NE DAY 2021

2021 ZER01NE DAY
2021 ZER01NE DAY
2021 ZER01NE DAY
2021 ZER01NE DAY
2021 ZER01NE DAY
2021 ZER01NE DAY
2021 ZER01NE DAY
2021 ZER01NE DAY
2021 ZER01NE DAY
2021 ZER01NE DAY
2021 ZER01NE DAY
2021 ZER01NE DAY
2021 ZER01NE DAY
2021 ZER01NE DAY
2021 ZER01NE DAY
2021 ZER01NE DAY